■ 진행 : 윤보리 앵커, 정진형 앵커 <br />■ 출연 : 김민경 기상·재난 기자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인용 시 [YTN 뉴스퀘어 8PM]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끝나지 않을 것 같던 폭염을 멈춘 건 반가운 비가 아닌 '200년에 한 번 올 법한 기록적 폭우'였습니다. <br /> <br />폭우가 지나고, 이제야 진짜 가을이 시작된 것처럼 서늘한 바람과 청명한 하늘이 펼쳐졌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와 함께 주말 폭우 상황과 가을 날씨 전망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김민경 기자 나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먼저 주말 폭우 상황부터 다시 짚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200년에 한 번 내릴 법한 기록적인 호우였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정말 어마어마한 기록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그래픽 보실까요? <br /> <br />예년 장마철 전국 평균 강수량이 356.7mm인데요, 지난 토요일, 창원에는 무려 397.7mm나 쏟아졌습니다. <br /> <br />부산과 거제도 300mm 이상, 서산, 순천도 200mm 이상 등 곳곳에서 9월 일 강수량 기록을 경신했습니다. <br /> <br />강수 강도도 기록적이었는데요. <br /> <br />창원의 1시간 최다 강수량은 104.9mm로, 기상청에서 창원 호우를 두고 200년 만에 한 번 내릴 수준이라고 분석할 정도였습니다. <br /> <br />이 밖에도 진도에서 시간당 112.2mm, 해남과 서산에서도 시간당 100mm 안팎의 물 폭탄이 쏟아졌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다시 장마철로 돌아간 듯한데요. <br /> <br />원인이 뭔가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시간 순서대로 볼까요? <br /> <br />화면 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토요일 새벽 1시 레이더입니다. <br /> <br />비구름이 두 갈래로 나뉘어 있는 거 보이시나요? <br /> <br />내륙의 큰 비구름, 그리고 남해안에 또 다른 비구름이 있는데요. <br /> <br />중부지방의 거대한 비구름대는 북쪽의 찬 공기와 남쪽의 따뜻한 공기가 강하게 충돌하면서 생긴 '정체전선'에 의해서 만들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충남 서산의 시간당 강수량 99.1mm가 기록된 게 이 비구름 때문이고요. <br /> <br />경남 등 남해안의 비구름은 북태평양 고기압의 가장자리를 따라 유입된 수증기가 지형에 부딪히면서 형성된 건데요. <br /> <br />화면에는 조금밖에 보이지 않지만, 이 서해 남부 해상에 있는 열대저압부가 남해안을 향해 접근하면서 뜨거운 수증기가 더 많이 유입됐습니다. <br /> <br />여기 보이는 곳곳의 남색이 시간당 100mm의 폭우를 뿌리는 강한 비구름인데요. <br /> <br />이 영향으로 창원에 비공식적으로 109.5mm, 공식적으로도 104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8_20240923202513115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